클라우드/클라우드 기본정리 3

클라우드 기본정리5

SSH 서버에 접속하는 방법? - 서버 성능을 올리거나 내리거나 백업하는 등의 전반적인 서버 작업은 관리 콘솔에서 수행된다. - 서버에 설치한 소프트웨어를 조작하려면 키 페어 방식을 사용하여 SSH방식으로 원격접속하여 관리해야 한다. SSH방식 사용법 데몬 프로그램 기동 → 조작하기 위한 소프트웨어(Putty, Tera Term 등)를 클라이언트에서 설치 키 페어란? - 로그인할 때 인증으로 사용되며, 공개키와 비밀키 한 쌍으로 구성된다. - AWS는 이 두 가지 키를 하나의 파일로 취급한다. - 다른 리전에서는 사용할 수 없지만, 같은 리전의 서비스라면 공통의 키페어 재사용 가능하며 비용이 들지 않는다. 공개키 비밀키 1. 자신 외 공개된 키 2. SSH로 인스턴스에 접속할 때 사용 1. 자신만 알고 ..

클라우드 기본정리1(미완성)

AWS Cloud에 대해서 아마존 웹 서비스란?(AWS, Amazon web service) Cloud computing service, 인터넷 쇼핑몰로 유명한 아마존의 자회사의 노하우를 전수한 것으로 * csp들 중 한 기업 CSP(Cloud Service Provider)란? 서버와 네트워크 등을 인터넷을 통하여 빌려주는 서비스 제공업체, 언제 어디서든 인터넷만 가능하면 해당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서비스들을 조합하여 APP과 Infra를 구축할 수 있다. AWS의 특징은? 1. 여러 사업자에게 빌려야 했던 인프라들을 일괄적으로 임대할 수 있다. ex) 서버 본체, DNS서버, 라우터 등 2. OS부터 웹 서버, DB서버, SW까지 통째로 임대가 가능하다. 3. 서비스 조합이 수월하다. e..

클라우드 기본정리4

EC2정의와 사용방법 EC2란? 컴퓨팅 용량을 제공하는 서비스, 서버에 필요한 세트를 클라우드에서 빌릴 수 있다. 임대서버와 클라우드의 차이 임대서버: 이미 만들어진 서버 기계나 서버 기능을 빌리는 것 클라우드: 빌린 도구를 사용해 자신의 서버를 만드는 것 -> 클라우드는 HW구성, OS조합을 탄력적으로 선택하여 구축가능하다. ※ EC2는 Managed Serivce아니다! 서버와 네트워크 운영은 AWS가 담당하긴 하는데, OS를 포함해 필요한 소프트웨어는 사용자가 직접 설치/ 운영해야 한다. 또한 AWS에 의해서 강제로 업데이트 되지 않는다. → 번거롭지만 자유도가 높다는 점 ☆ Managed Serivce란? AWS가 관리하는 서비스 ex) S3의 경우, 관리자가 설정하지 않아도 백업/ 업데이트가 자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