보안/네트워크 보안 4

0920 시스템/ 네트워크 해킹(System/Network Security) 4일차

암호화2 9월 20일 화요일 암호화를 하는 이유 기밀성(confidentiality): 내용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 무결성(integrity): 내용이 변조되지 않도록 하는 것 가용성은 암호화와 상관이 없다. 인증(authentication): 올바른 사용자임을 증명하는 것 부인봉쇄: 아니라고 하지 못하게 하는 것 대칭키(symmentric key)==secret key ==session key 암호화키와 복호화 키가 서로 대칭을 이룬다. → 사실상 하나의 키다. Dr.Feistel, 헝가리의 2차 세계대전 출신으로 IBM의 루시퍼 시스템인데, 이게 다운 그레이드 되어서 DES, 3DES가 되었다. SPN구조(치환와 전치의 반복): AES(리인델) 대칭키 방식은 크게 두가지인데, SPN구조와 feis..

0919 시스템/ 네트워크 해킹(System/Network Security) 3일차

시스템 네트워크 보안 암호화 암호화 프로토콜 암호화 서비스 암호화 개요 암호화를 수십번 쓴다. 현재는 암호화 안된 것을 사용하지 않는다. 최근 이슈는 과연 우리가 사용하는 암호회는 안전한가? 이 사이트에서만 암호를 보았으면 좋겠다. 하지만 다른 사람이 내가 아이디를 치는 것을 보지 않을ᄁᆞ? 저번시간에 wireshark로 볼 수 있었다. 암호화를 하지 않으면, 도청된다. 이메일로 로그인을 하는 경우에도 base64로 난독화가 되었지만, 디코딩을 하면 패스워드가 뭐였는지 볼 수 있었다. (군단장과 시저만 알고 있어야 한다.) 그림 설명: 로마의 caesar는 갈리아(프랑스) 지방을 정벌을 했는데, 정벌하기 위해서 10년이 걸렸다. 여기 라인강 주변에서 게르만족이 살았는데, 이 곳이 살기 좋다. 여기는 산이..

0916 시스템/ 네트워크 해킹(System/Network Security) 2일차

시스템 네트워크 보안 2일차 네트워크 보안(일정) 네트워크의 이해 → 네트워크 분석취약점(목요일) 종합정리(금요일) ★ 인터넷의 시작: 통신 장치들이 호환이 안되는 문제, 네트워크 장비를 만드는 회사들이 각자 독자적인 기술을 가지고 있어서 호환이 안됨. 그래서 만든 것이 ARPA에서 공통의 프로토콜(장비가 달라도 통신익 가능하도록 프로토콜을 개발(ARPAnet: 빈트서프, 로버트칸)) ★ milnet와 tcp/ip로 나누이서 tcp/ip는 민간에 개방해서 상업용으로 사용가능하도록 하였다. 그래서 오늘날 사용하고 있는데, 정부 기관이다 보니 돈을 받을 수 없다. license free, isp기업들은 엄청 좋아함 ★ ip프로토콜: ip주소를 분배하고 ip끼리 서로를 인식하고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토콜..

0915 시스템/ 네트워크 해킹(System/Network Security)

이론이 매우 중요! 이론을 실습으로 연결하는 것 인터넷을 만든사람 → 빈트 서프, 로버트칸 (1970년대 초반) 인터넷의 종류: www(80년대), ftp, telnet, ssh, 토렌트, gopher, archie(60년대) 등 인터넷이 만들어진 이유? 미 국방부 산하에 ARPA(알파, 국방과학연구소)애서 전쟁에 쓰이는 무기를 연구(신무기 개발) 전쟁에 쓰이는 무기를 개발하려다보니 연구기관들이 다 흩어져 있다. 그래서 데이터를 교류하려고 보니 과거는 비행기를 타고 갔다. 그래서 선을 연결할 수 없을까 생각하다가 개발하게 됨. 연결하려고 보았더니 통신방법이 다 다르다. 어떤 연구기관은 CISCO방식, 유에스로보틱스 방식 등을 사용하면서 서로 다른 회사의 네트워크 장치를 사용하다보니 호환이 안되는 상태, ..